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쓰레기소각 비산재 중의 다이옥신류의 휘발탈리분해 시스템

전문가 제언
□ 다이옥신은 근대 이후 산업화로 배출원이 크게 늘어왔으나, 미량물질인 까닭에 분석기술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모르고 지내오다가, 70년대 이후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미국, 일본, 독일 등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고부터 중요한 환경오염물질로 취급하게 되었다.

□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배출원과 각 지역별 농도측정결과를 토대로 위해성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연구 실적이 거의 없는 실정이며, 대도시에 소각장이 들어서면서 새로운 환경문제로 인식되게 되었다.

□ 우리나라 다이옥신의 주범은 쓰레기 소각 뿐 아니라, 자동차, 난방보일러, 화학물질 제조, 철강산업공정, 제지, 화재, 산불 등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는데,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1/30~1/100수준이라고 한다.

□ 다이옥신은 벤젠고리와 염소, 산소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이나 음식물쓰레기 등 염소분을 함유한 쓰레기를 소각하는 쓰레기소각시설 또는 산업제조공정에서 염소가 들어가는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일본에서 다이옥신류의 약 90%는 일반폐기물 및 산업폐기물의 소각로시설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소각로 배기가스의 규제는 1962년에 석탄회의 배출규제를 처음 실시하였고, 1980년대 후반에 소각로에서 발생한 수은을 제거하는 장치로 습식세정장치에 킬레이트제를 첨가하여 수은을 제거하는 방법이 연구개발 되었으며, 1990년대부터 도시쓰레기 소각시설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류가 큰 문제가 되어, 이런 유해 미량유기화합물에 대해서는 보다 세심한 연소관리와 연도 내의 온도조절로 다이옥신의 발생과 재합성을 억제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이와 함께 전기집진기의 저온화와 여과집진기(Bag Filter)가 채용되었다.

□ 석탄회의 화학적처리에 있어서 해결해야할 과제를 짚어본다.

○ Cd, Pb 등의 매립기준이 엄격한 경우의 약제의 사용량 증가대책
○ 석탄회의 중간처리 시에 중금속류 불용화물의 산성비 영향 하에서의 거동에 관한 연구추진
○ 매립완료 후의 다이옥신류의 축적대책
○ 감량, 감용화 대책
저자
Tetsuo Akei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636)
잡지명
산업기계(A068)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3~27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