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민간항공기 엔진 기술의 진보와 전망

전문가 제언
□ 아마도 우리나라는 항공 산업 육성의 길로 나가는 듯하다. 이미 대한항공, 삼성항공 및 대우 중공업이 항공기의 조립과 항공부품을 국제협력을 통한 하청생산을 개시한지 오래다. 이를 통하여 상당한 기술을 축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항공기술의 수준은 아직 초보단계에 있다. 즉 설계기술은 경항공기 설계 정도의 초보적인 수준이며, 엔진부분에서는 압축기, 터빈, 연소기 등 주요부품의 기계가공 능력은 있으나, 정밀주조, 소재 생산능력은 미비한 실정이다.

□ 또한 항공기개발에는 풍동시험, 구조시험, 엔진 시험, 환경시험, 비행시험 등의 여러 시험평가기술이 요구되는데, 현재는 기초적인 시험능력만 보유하고 있는 형편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항공기 엔진의 생산에 도전하려 한다면, 하루속히 본 논문에서 논의된 고도화된 설계와 해석기술(예를 들면 엔진의 3차원모델, CFD에 의한 공력시뮬레이션, 전열・구조 통합모델 등)이 도입, 실용화되어야 할 것이다.

□ 제트기의 출현 이래, 항공기 엔진에 의한 소음의 장해는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구미에 있어서는 항공기 엔진에 의한 소음을 감축하려는 기술의 개발, 항공기 소음에 대한 장해의 평가기법의 개발 등 각종 관련 기술의 조사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도 소음감축을 위하여 여기서 논의된 익렬(翼列)간섭 소음의 감축, 흡음재, 배기류의 혼합 등 소음 감축에 대한 연구 노력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 앞으로 우리가 접근할 수 있는 항공기술은 재료기술이라고 본다. 엔진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열성의 무냉각 복합재료의 개발, 항공기 경량화를 위한 재료기술의 개발은 또한 열효율향상의 열쇠이기도 하다. 또한 복합재료 등의 사용은 연료소비율의 추가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혁신적 재료는 내열성이 높은 세라믹스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자
Kazunori Kanatsu, Shunnichi Kond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3
권(호)
(580)
잡지명
항공기술(A082)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26~35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