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 실린더형 나노 액추에이터 개발
- 전문가 제언
-
□ 1980년대 후반부터 반도체집적기술을 이용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MST(Micro Systems Technology), 마이크로머신(Micromachine) 등에 관한 연구개발이 세계적으로 붐을 이루어 오고 있다. 이 MEMS, MST기술의 공통핵심기술이자 핵심부품(기구)인 마이크로액추에이터 및 마이크로센서 등은 나노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BT, IT 등 21세기 주요산업분야에서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에 관한 연구는 주요과제로서 다루어지고 있다.
□ 생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조직 또는 혈류 속의 혈액세포에 대한 역학적 거동이나 DNA분석에 의한 여러 공학적 접근이 생체역학(Biomechanics)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온 많은 연구에 의해 산업에 응용되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이 자료는 일본의 마이크로머신관련업체가 세포조직을 역학적으로 해석하고 정량적으로 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개발한 구동장치인 실린더형 나노 액추에이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개발된 실린더형 나노 액추에이터는 구동원인 고정밀도의 스테핑모터가 갖는 회전력을 고정밀도의 볼스크류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구로서 이 기구의 구동메커니즘이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었다.
□ 국내에서도 이미 BT, NT는 전략기술로서 국가프로젝트로 추진되고 있고 마이크로액추에이터에 대한 연구가 일부대학과 여러 연구소의 MEMS Lab.에서 진행 중이다. 세포조작, DNA분석을 위한 마이크로/나노 액추에이터, 마이크로센서 등의 BioMEMS분야는 BT의 개발경쟁력을 위한 나노기술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대학을 중심으로 나노 액추에이터를 비롯한 NEMS(Nanoelectromechanical Systems)의 연구 활성화가 필요하다. 생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조직 또는 혈류 속의 혈액세포에 대한 역학적 거동이나 DNA분석을 의한 여러 공학적 접근이 생체역학(Biomechanics)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져온 많은 연구에 의해 산업에 응용되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 저자
- Kazunobu KOREMATSU, Ryuzi Sa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7(10)
- 잡지명
- 기계설계(A05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42~45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