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수복재료의 마모시험
- 전문가 제언
-
□ 음식문화의 다양화와 사고증가에 따른 치과환자를 위한 치과수복용 재료로는 수은 아말감과 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은 아말감은 시술이 쉽고 내마모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으로 인해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금과 함께 치과용 수복재료로 약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아말감은 심미성(審美性)이 결여되어 있고 인체에 유해하며, 금은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에 고분자 레진을 매트릭스로 하고 무기충전재를 보강재로 사용한 광경화성 복합레진이 수복용 치과재료로 부각되면서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신속하게 중합반응이 일어나며 생체적합성 및 저독성이 탁월한 복합레진이 개발되었다.
□ 오스코텍(주)은 한우 뼈에 나노기술을 적용한 치과용 뼈이식재(BBP)를 개발해 시판 중이다. 2003년 6월 유럽연합(EU)의 품질인증기관으로부터 안전성 인증마크(CE Class)를 획득한 데 이어 2004년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품목승인을 받았다.
□ BBP는 인공치아를 잇몸에 이식하는 임플란트 시술 때나 약화된 잇몸 뼈 조직을 보충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치과용 재료 물질로 오스코텍(주)은 국내 시장의 35%를 점유하고 있다. FDA 승인을 받은 BBP는 국산 한우뼈 조직에서 추출한 것으로 같은 중량의 금값보다 9배나 비싼 고부가가치 물질이다.
□ 염증ㆍ질환ㆍ사고 등으로 손실된 치조골 부위에 BBP를 이식하면 주변 혈액 내 성장원을 자극, 뼈 형성을 유도해 손실된 치조골을 메워주며 자신은 생분해되어 없어진다.
- 저자
- Hideo OG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48(11)
- 잡지명
- 트라이볼러지스트(A0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22~927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