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자동차용 엔진오일 첨가제의 동향

전문가 제언
□ 지구 온난화가스의 주 구성 성분의 하나인 CO2 발생량이 일본 국내 CO2총량의 21%가 운송부분에서 배출되고, 그중 자동차가 88%를 배출한다는 보고가 있다. 우리나라 국내 승용차가 중대형화 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일본의 차량중양 평균치가 과거 10년간 약 22%증가했고, 미국은 차 평균 중량과 평균마력이 각각 11%, 45% 증가하고 있다(2000년도와 1998년 비교). 이것은 자동차 연비악화의 원인이 되고 있고, 대응할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 가솔린 엔진의 연비개선을 위한 엔진오일의 첨가제로 고성능의 마찰조정제의 사용뿐만 아니라 마찰계수에 영향을 주는 금속계청정제 등의 선택이 특히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향후 내촉매피독성향상을 위하여 엔진오일 첨가제에 함유된 인(phosphorous)의 감량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저인 또는 인이 없는 마모방지제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디젤엔진 자동차의 배출가스 규제가 유럽 및 미국도 각기 EURO-IV (2005), EURO-V(2008), HD2007 프로그램으로 도입될 예정이고, 우리나라도 2005년 디젤엔진 승용차 시판허용 계획에 따라 NOx, 입자상물질 등의 엄격한 배출규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시기이다.

□ 특정 화학물질의 배출량 및 관리가 강화됨에 따라, 엔진오일의 첨가제도 기재 개발 단계부터 환경을 배려한 화학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저자
Kazuteru Kotak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48(11)
잡지명
트라이볼러지스트(A058)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78~884
분석자
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