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성가공에서 공구와 재료의 표면 텍스처
- 전문가 제언
-
□ 소성가공에 있어 윤활메커니즘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또한 소성가공의 경우 한쪽은 담금질이 된 단단한 공구이며, 다른 한쪽은 비교적 연한 재료이고, 또한 면압은 재료의 항복응력을 가볍게 넘을 정도로 높기 때문이다. 즉, 마찰경계면의 여러 곳에서 재료표면은 소성변형을 하고, 그의 표면 텍스처, 즉 표면 거칠기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한다. 이와 같이 공구와 재료와의 표면 거칠기의 상호작용, 더욱이 그에 존재하는 윤활유의 점도 등과의 관계에서 윤활유의 거동도 현저하게 변화한다. 즉, 표면 거칠기의 오목부에 윤활유가 들어가 밀봉되면 높은 정수압을 발생시키게 되면, 그 윤활유가 거기로부터 공구와 재료가 직접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통해 강제 윤활 상태에서 유출할 수도 있다. 이는 소성가공 특유의 윤활메커니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윤활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생기면, 소성가공 중에 마찰경계면의 윤활상태는 극적으로 변화한다.
□ 공구와 재료의 표면 거칠기에 주목하면서 그에 존재하는 윤활유의 점도와의 관련 하에서 소성가공의 윤활메커니즘에 대하여 먼저 유체윤활 이론의 연장선상에 있는 평탄한 재료를 대상으로 했을 경우의 윤활메커니즘에 대하여, 다음으로 재료표면 거칠기가 거칠게 되였을 경우에 생기는 소성가공 특유의 복잡한 윤활메커니즘에 대하여 해설한다.
□ 소성가공의 마찰과 윤활에 관하여는 여러 가지 조건과 내용에 따라 복잡하고 특이하기 때문에, 단조, 압출, 인발, 압연 등의 수치해석 즉 시뮬레이션 할 때에 적용 되는 마찰계수의 선정이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고 있어, 수회에 걸쳐 시행착오를 통하여 마찰 계수를 선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소개 기술내용을 통하여 소성 가공시의 공구와 가공재 간의 마찰에 대한 메커니즘 이해와, 소성가공 시뮬레이션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Seiji Katao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8(9)
- 잡지명
- 트라이볼러지스트(A0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728~733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