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회전기계의 열화예측기술 개발

전문가 제언
□ 발전설비 및 플랜트를 구성하는 많은 기기는 운전 중 장기간에 걸친 온도, 압력, 부하 등의 변화에 의하여 열화되어 원래 목적한 설계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손상되어 생산에 차질을 주고 플랜트를 조기에 폐쇄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기기의 현재 상태를 정밀진단하여 열화원인을 파악하고 조기에 그 원인을 제거하거나 감소시켜야 한다.

□ 비파괴괴적인 방법은 실물을 크게 훼손시키지 않고 손상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손상량의 정량화 문제와 측정시점 및 장소에 제한이 있다. 이론해석법은 파괴법이나 비파괴법의 적용이 불가능한 부위에도 평가가 가능하며, 설비의 운용형태가 변화된 경우의 열화예측도 가능하다.

□ 설비가 그 본래의 기능을 다할 수 없는 상태, 즉 기능고장(functional failure)이 발생하기 전에 진동, 소음, 온도, 압력, 윤활유 등과 같은 인자를 통해 설비의 상태와 성능을 진단하고 기기의 고장을 예측하여 설비가 기능 고장을 일으키기 전에 조치해 줌으로써 더 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예측정비를 할 수 있다.

□ 예측정비를 하면 설비의 가동시간이 늘어나 설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on-line monitoring system) 및 데이터 수집장치(data collector) 등의 도입, 각종 첨단 장비를 활용한 예측진단 정비기술 개발과 모터 전류(motor current) 해석, 적외선 열화상법, 오일분석법 등 선진기술 습득에 노력하여야 한다.

□ 가동 중인 회전기계 설비의 불시 정지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가동을 중단하고 필요한 설비를 분해, 점검, 조립 및 성능을 시험해 볼 필요가 있다.
저자
Yukio WATANAB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3
권(호)
48(7)
잡지명
트라이볼러지스트(A058)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571~577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