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적 안전지수에 의한 근로재해 발생률 평가
- 전문가 제언
-
□ 사업장에서 근로재해는 그렇게 자주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종업원들에게 안전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입하여 안전 활동과 안전 시책을 강화하고자 할 때 그 의미를 납득시키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근로재해가 수년 또는 수십 년에 1번 정도 발생하더라도 일단 일어나면 심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망 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에 종업원에게 그 중요성을 인식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근로재해는 발생률이 낮기 때문에 많은 사업장에서 종업원들이 그 중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가 사망재해 등의 재해 발생이 있은 후에야 근로재해의 무서움을 재인식하게 된다.
□ 안전 활동에 노력을 기울여도 효과가 보이지 않는 성과를 눈에 띄게 확실히 나타나도록 한다는 것을 목표로 일본의 CRIEPI에서 5년 동안 개발한 안전진단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개발한 안전진단 시스템의 개요와 진단 결과의 신뢰성에 대해 서술하고 이 시스템을 이용해서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부터 종합적 안전지수와 근로재해 발생률과 상관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 안전 진단 시스템은 사업장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진단용 앙케트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진단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진단 결과와 각 업체의 표준값, 평균값, 표준 편차 등의 자료와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진단 결과에 의해 안전성 향상 전략 및 안전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안전 활동을 강화한 후 사업장 전체 안전 수준이 향상되었는지 안전진단 시스템으로 판정하였다.
□ 앙케트 조사 결과로부터 얻은 대표적 주요 인자인 종합적 안전지수와 근로재해 발생률(3년간 연간 평균 재해발생 건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업종의 사업장에서 근로재해 발생률과 종합적 안전지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인정되기 때문에 종합적 안전지수가 사업장의 안전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해도 무방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산업 현장에서 이러한 기존에 개발된 안전진단 시스템을 도입해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근로재해를 감소시키는 한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Kenichi Taka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3
- 권(호)
- 45(14)
- 잡지명
- 배관기술(A0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22~26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