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냉각수계의 부착생물을 둘러싼 문제점과 대책

전문가 제언
□ 화력발전소나 원자력 발전소의 해수 취수설비와 취수관로, 복수기 전열면에는 해양 부착생물로 인한 유량저해, 전열저해, 부식야기, 부식유도 등의 장애를 일으킨다. 이 부착생물에 대한 처리대책으로 취수 방식, 유속, 부착 미생물의 부착 허용정도, 부착 기피 작용, 부착기반, 방오 실험에 대한 기술로 주로 육안 식별되는 대형 부착생물의 방지에 대한 기술이다.

□ 발전소 냉각수용 취수계통 및 순환수계통의 해양생물 부착방지를 위한 냉각수 처리방식은 여러 방법(이온교환, 전기투석, 흡착, 용매추출 등)이 있지만 방식 선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발전설비에서는 주로 전해방식으로 해수를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 소오다 용액을 생산하여 발전소 내 순환수계통에 주입, 해양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소 가스 폭발에 유의해야 한다.

□ 해양환경 오염
냉각수는 사용이 되고 나서 폐수시설을 거쳐 발전소 바깥 해양으로 배출이 되는데 근래의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과 환경 보존에 대한 관리 감독으로 온폐수에 의한 해양 열오염 지수는 많이 낮아지고는 있지만 배출 수온과 더불어 폐수시설을 거치지 않은 일반 폐수 배출수 속의 생물 분해성 영양염은 해양 생물의 먹이도 되긴 하지만 연안 해역에서 집중적인 적조현상으로 발생하고 있어 해양생물 생태계에 주는 영향은 심각하고 자연자원의 고갈과 인체 보건적인 문제도 있다. 따라서 생활자원의 절약과 자원 재활용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계속하고 과감한 투자 및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점차 시장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 되는 해수 담수화 설비와 해양 심층수 채취 설비도 시설 입안 때부터 해양오염에 대한 인식을 충분히 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Atsushi KAWAB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3
권(호)
45(14)
잡지명
배관기술(A057)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7
분석자
문*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