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세정
- 전문가 제언
-
□ 화학세정은 무기산 및 유기산을 주요 약품으로 사용하여 세정대상기기의 부식을 억제하면서 부착되어 퇴적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화학세정은 대상물의 재질 및 조직변화, 기기의 구조 및 열분포도, 스케일의 성분 및 조직 등, 매우 복잡한 인자가 많을 뿐 아니라 화학반응은 시한성이기 때문에 정확한 세정약품의 선정과 세심한 세정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 화학세정은 주로 산에 의한 세정이기 때문에 세정 후에 중화 및 방청공정까지 화학적・공학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화학세정의 대부분이 습식세정이므로 세정공정에서 많은 양의 물과 화학약품의 사용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환경오염, 고비용 문제에 대한 각별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 최근, 세계적으로 강력하게 추진되고 있는 「Green Chemistry」운동은 제품생산에 있어서 재품의 전 라이프사이클에 걸쳐서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유해한 물질의 사용과 제조를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화학세정산업에 있어서는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 우리나라의 경우를 보면, 화학세정 기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현재는 정착단계에 있지만, 화학세정을 다루는 기업들이 대부분 중소기업으로「Green Chemistry」운동에 동참하기 위해서는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다.
- 저자
- Kazuhiro Kiyot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45(13)
- 잡지명
- 배관기술(A0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14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