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관내 세정기술
- 전문가 제언
-
□ 관내 세정기술로서 사용되는 화학세정과 기계적 세정은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세정 코스트를 고려하여, 최적의 세정 프로세스를 설정하여야 한다.
○ 장척인 배관이나 복잡한 구조물 등, 기계적 수단을 적용하기 곤란한 대상물에는 화학세정만이 대응할 수 있다.
○ 화학세정은 화학약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대상물의 구성재료가 부식되지 않도록 세심한 세정제의 선택이 필요하다.
□ 근년에는 화학세정기술의 큰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환경보전과 에너지 절감의 관점에서 화학세정 배수의 확실한 처리와 최종 폐기물의 감량화 및 재이용 가능성까지, 토탈 시스템으로서 확립되어야 한다.
○ 화학세정 본래의 목적인 오염물질을 효율좋게 제거하는 기능만으로는 세정기술로서 불충분하다는 것이 사회적 요청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를 보면, 화학세정기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현재는 정착단계에 있지만, 화학세정을 다루는 기업들이 대부분 중소기업으로 세정작업 후의 배수 및 폐기물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최근, 세계적으로 강력하게 추진되고 있는 「그린 케미스트리」는 제품생산에 있어서, 제품의 전 라이프사이클에 걸쳐서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유해한 물질의 사용과 제조를 하지 않도록 하는 운동이다. 화학세정산업에 있어서는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대응책이 시급하다.
- 저자
- Hiromi Kawagu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5(13)
- 잡지명
- 배관기술(A0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5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