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VPRM을 이용한 자재관리

전문가 제언
□ 제조업체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생산설비, 교육, 시스템구축 등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그러나 어느 특정한 설비 또는 해결방안을 수립하기보다는 제조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제는 값싼 노동력과 종업원의 헌신적인 노력에 의한 성장은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합리화를 추구하여야 하며 정형화된 계획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 잘못된 계획에 의하여 정확하지 않은 수량을 생산하고, 이를 납기에 적용한다면 재고수준의 증가와 비용의 추가적인 부분은 회사를 곤란하게 할 것이다. 미국에서 발생된 관리기술을 일본에서 도입하여 JIT라는 철학적 개념이 탄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미국에서는 MRP시스템의 추진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 일본의 간판방식은 일종의 공정관리이며, 반복적인 생산형태의 제조업에서는 이 기법을 적용하여 많은 효과가 입증되었고, 전제조건인 TQC, 생산의 평준화, 준비시간의 감소 등이 일정목표가 추진되었을 경우 더 많은 효과가 있다.

□ 시스템을 갖춘다는 것은 미래지향적이다. 기능에 대한 계획이 가능하여지면 관련된 시스템과의 정보교류, 재무계획 등에 도움을 주고 생산능력, 자금계획 등을 예측하고 통제하는 시뮬레이션도 가능하여 효과적인 계획을 수립한다. 또한 간단한 소프트웨어로도 할 수 있는 부분도 있기에 구성원 각자의 노력으로도 부분적인 관리도 가능하다.

□ 시스템구축을 위한 초기투자발생은 필수적이고, 시스템의 도입은 타당성이 있다. 최근에 이르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가격은 인하가 되었고, 단순한 자재관리 기능만을 자체개발을 하는 경우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수행 할 수 있다.
저자
Hideaki Miyachi, Thiamseng Goh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3
권(호)
45(11)
잡지명
배관기술(A057)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62~66
분석자
김*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