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프라인 검사의 최신 기술동향
- 전문가 제언
-
□ 파이프라인은 다용도로 사용되는 에너지 수송 수단으로 설치되어 각종 유체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것이다. 용도에 따른 파이프라인 규격, 재질과 피 운반물의 점도 및 유체의 함유된 고형물 등 불순물의량 또한 유체의 탁도, 산화성, 운반물의 수송 길이에 따른 마찰 손실과 압력 손실 등을 감안해서 유체를 펌핑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 파이프라인 검사 시 검사원은 지정된 시일에 파이프 스캔 검사 장비를 현장에 운반하여 검사를 하나 검사원의 숙련도에 따라 파이프라인 내면의 상태의 분석 평가 정도가 차이가 있다.
□ 파이프라인 검사 준비 단계로 내면 클리닝을 충분히 시행한 상태를 점검할 것이며 파이프 스캔 장비의 조작자는 내외면 상태 자료(data) 수집에 열중해야 하며 자료(data) 분석은 전문 교육 받은 자로서 수년간 경험자가 해야 한다.
□ 파이프라인 검사 시 상태가 심각하면 사전에 대책을 세워 교체 판단을 해야 한다. 부분적인 누설 보수는 비용이나 설비 가동상의 지장으로 인한 손실도 고려하여야 한다. 누설되는 유체에 따라 다르지만 임시적인 누설예방은 차후에 큰 손실이 예측되므로 충분한 비교검토가 요망된다.
□ 파이프라인 검사 장비로는 파이프 스캔이 비용 면에서나 작업 능률면에서 유리하나 적용 가능거리가 초음파식보다는 적으므로 이를 보완키 위해서 파이프 스캔 장치에 있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Cable)의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윈치 드럼(Winch drum)이 커져야 하며 케이블(cable) 자체는 강도나 피복제 및 유연성을 강화하여 파손이 어려운 재질의 검토가 요망된다.
- 저자
- Yoshiaki Kubo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5(10)
- 잡지명
- 배관기술(A0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63~38
- 분석자
- 송*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