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EUROPIPE사에서 제조한 고강도 라인 파이프의 기술 현황

전문가 제언
□ 석유나 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송유관은 외부는 해수와 진흙, 사막, 토양에 노출되며 표면 온도는 시베리아의 혹한에서 사막의 열대 기온의 범위에 놓인다. 또한 진흙이나 토양 속에 존재하고 있는 황화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H2S 가스를 함유한 부식성 분위기에서 사용되는 라인 파이프에 수소가 침투하여 수소취성과 수소 유기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현재 우리나라의 동해에 매장되어 있는 천연가스를 채굴하여 육지로 수송하기 위한 라인 파이프와 앞으로 러시아의 이루크츠크 가스전에서 중국과 북한을 거쳐 국내로 천연가스를 도입하는 대형 사업의 건설에 사용될 라인 파이프의 용접부는 해수 분위기에서의 내식성과 혹한 분위기에서의 저온인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H2S 가스를 함유한 원유 또는 천연가스 수송용으로 사용하는 라인 파이프와 용접부가 응력을 받게 되면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산화막이 파괴되어 수소의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 재료와 용접부에 대한 기계적 성질 실험을 하는 경우 재료에 가해지는 동적인 소성 변형에 관심을 두어야 하며, 수소 유기 균열에 대한 평가지수(CLR, CTR, CSR)를 토대로 라인 파이프의 수명을 설계해야 한다.

□ 석유나 천연가스의 송유관으로 개발되고 있는 고강도 라인 파이프 또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라인 파이프의 국내 수요와 해외 수출을 위한 국산화 개발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파이프 모재와 용접부의 부식과 균열의 방지를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용접부의 방식, 용접 재료, 용접 시공을 포함하는 용접 기술 분야의 연구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고에서 제공하는 EUROPIPE사의 기술 개발에 관한 내용은 향후 국내의 라인 파이프 개발과 용접 · 방식 분야의 내실 있는 연구 개발에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Sasuke Echigoy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45(9)
잡지명
배관기술(A057)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9~76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