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최근 가스실드 아아크용접기기의 동향

전문가 제언
□ 용접시공에서 흄(hum)이나 스패터(spatter)의 저감 및 용접재질의 변형에 대한 대응과,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용접의 고능률화, 각종 국제규격인 ISO도입에 대응한 용접품질 확보를 위한 용접시공 데이터관리 등 용접 시공에 대한 사양이 엄격해지고 있다.

□ 용접기기의 전원제어기는, 인버터 제어식을 시작으로, TIG용접 및 탄산가스, MIG, MAG용접으로 변천하였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가스실드 아크용접으로, 용접 프로세스에 관계한 다양한 제어기술이 개발되어 용접품질, 작업성, 능률의 향상에 크게 공헌해 오고 있다.

□ 최근 인버터회로의 제어소자로 IGBT나 MOSFET가 사용되어, 더욱 고속으로 안정된 출력제어가 가능하게 되었고,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고성능화와 대용량화로 용접전원의 제어회로가 디지털제어로 변천하고 있다. 탄산가스/MAG용접기, 교류-직류 양용 MIG/MAG용접기 등이 개발되었고, 이들을 베이스로 한 텐덤(tandem)펄스 MAG용접시스템과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hybrid)용접 시스템의 신 용접프로세스기술도 등장하여, 용접의 고속화, 고품질화가 실현되어 용접현장 요구의 대응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용접프로세스에 관한 용접전원의 출력제어를 종래 아날로그 제어로부터 정밀하고, 유연성이 있는 디지털제어(소프트웨어화)로 변천해가며, 장래 디지털제어기술의 용접기기에의 적용은 가속화 될 것으로 생각되며, 용접전원 제어방식은 그 개념이 기본부터 변화하고 있다. 최근의 용접대상물은 철 금속과 철 금속과의 접합만이 아니라, 철 금속과 비철금속 더 나아가 철 금속과 비금속과의 용접접합을 요구하게 될 것으로 예견되어 이에 대응 할 용접기술과 용접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 용접기 전원제어기술의 새로운 기술인 디지털제어기술에 대한 기술동향과 용접분야를 둘러싼 연구 분위기와, 최근 개발된 용접기기와 용접기술은 용접 현장에 또 다른 변화를 가져다 줄 것으로 보인다.
저자
Hongjun, TONG, Tomoyuki, UEYA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3
권(호)
45(9)
잡지명
배관기술(A057)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2~27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