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접재료의 최근 동향
- 전문가 제언
-
□ MAG용접재의 재질 개선으로 용접구조물에의 적용확대는, 일컬어 3D업종이라 하는 용접작업의 반자동화, 자동화와 로봇화의 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있다.
□ 또 MAG 용접재료는 철골, 자동차, 차량, 건설기계와 용접구조물의 용접시공에 로봇용접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와이어는 재료공급성이 떨러져 로봇이 일시정지 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스패터 발생량도 많았으나, 와이어 공급성(送給性) 개선을 위해 SE-와이어 시리즈를 개발 하였고, 용접부의 건전성 확보를 위한 용접입열 40kj/cm 이하와, 패스간 온도 350℃ 이하의 용접시공 지침을 만족 시킬 수 있는 MG-55가 개발되었다.
□ 플럭스 첨가와이어인 탄소강용 FCW는 조선을 중심으로 철골, 교각, 산업기계 등, 많은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나, 스패터 발생량 절감은 물론 가스 발생량의 저감과 내 기공성 개선의 문제가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개발 된 것이, 낮은 흄과 낮은 스패터 발생용인 FCW의 Z-시리즈이고, 대장각 수평코너 살붙이기 용접용의 DW-50BF와, 또 용접 열에 의한 용접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용접재로 DW-100N이 개발되어 각 요소의 용접시공에 적용 좋은 호응을 받고 있다.
□ 액화 가스운반선이나, 해양구조물과 같이 낮은 온도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조물의 중요부분은 파괴인성 확보가 필요하다. 용접후의 파괴인성 가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응력제거 열처리를 한다. 이때 재질변화를 방지 할 수 있는 용접재로 DW-55LSR이 개발되었고, 또 고장력강용 용접재로 950N/㎟급의 고장력강용 피복아크용접봉, 서브머지 아크 용접재료, TIG용접재료 등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얇은 박판용 스테인리스강에 적용되는 용접와이어 DW-T시리즈도 개발되어 식품가공기기나 의료용 기기제작에 적용 용접 시공되고 있다.
□ 각종 용접시공을 필요로 하는 구조물이나 기기제작에 사용되고 있는 강재에 적합하고, 그의 용도에 맞는 용접재료의 개발 현황과 앞으로의 동향에 대하여 상세히 해설된 자료이며, 용접재료 개발을 담당하는 엔지니어에게 도움이 될 자료라 사료된다.
- 저자
- Shinsuke, TSUTSUM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45(9)
- 잡지명
- 배관기술(A0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6~11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