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동토지대의 관로개설과 파이프라인의 모니터링
- 전문가 제언
-
□ 동토지대에 건설되는 원유나 천연가스의 파이프라인 모니터링에는 지진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과, 원유나 가스의 누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이들에 대한 언급이 없다.
□ 지진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에 대하여: 여기서 건설된 원유 파이프라인은 캐나다의 Norman Wells로부터 Zama까지 설치되는 것으로, 환태평양 지진지대에 속해 있는 지역이다. 특히 이 지역에 활단층이 있는 경우는 지진에 대한 모니터링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파이프라인은 지진활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드바 등을 사용하는 등의 내진설계로 하여야 할 것이며, 지진 시의 파이프라인의 손상을 예측하는 가속도계에 의한 지진검지시스템이 설치되어, 지진에 대한 모니터링을 항시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 원유 누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에 대하여: 파이프라인에서의 원유의 누설은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원유의 누설로 인한 환경에의 영향도 심각한 문제가 된다. 원유 누설 검지 시스템을 설치하여 항시 누설을 모니터링 하여야 할 것이다. 알래스카의 TAPS 파이프라인에서는 실제 원유의 누설사고를 경험하고 있으며, 그 곳에는 파이프라인 유량의 1% 이하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는 누설검지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 저자
- Sasuke Echigoy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45(8)
- 잡지명
- 배관기술(A0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3~22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