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온도전송계를 이용한 에너지절약 운전의 가능성

전문가 제언
□ 산업계에서 온도측정에 가장 많이 쓰이는 두 가지 계기는 측온저항체(RTD)와 열전대이다. 어느 계기를 쓸 것인가는 보통 4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즉, 온도, 시간, 크기, 정확도의 4가지이다. 공정온도가 200~500℃이면 RTD가 적절하고 그보다 많이 높으면 열전대를 쓸 수밖에 없다. 또 공정이 온도변화에 대해서 빠른 대응(1초미만)이 요구된다면 열전대가 좋다. 표준 RTD의 개장(鎧裝 : sheath)의 지름은 3.1~6.35mm이지만 열전대 개장의 지름은 1.57mm보다 작을 수도 있다. 공정이 2℃ 이상의 오차를 허용한다면 열전대가 적당하나, 2℃ 미만을 요구한다면 RTD를 써야 한다.

□ 열전대는 열기전력을 이용하는 온도계로서, 2종의 금속선의 양단을 접합해서 한쪽 접점(cold junction)을 일정온도로 유지하고 다른 쪽 접점(hot junction)의 온도를 변화시켜서 열기전력의 측정치로부터 온도를 구하는 열전온도계이다. 금속의 조합에 따라서 PR열전대(백금-백금로듐), CA열전대(크로멜-알루멜), CC열전대(구리-콘스탄탄), IC열전대(철-콘스탄탄) 등이 있다.

□ 일본은 에너지절약에 관한 법을 강화하여, 이전에는 규제하지 않았던 제2종 에너지관리 지정사업소(연간 에너지 사용량 원유환산 1,500㎘, 전력 600만kW)까지도 에너지사용상황을 기록하도록 의무화하였다. 즉 에너지절약을 위하여 정부가 발 벗고 나선 것이다.

□ 한국도 국제유가가 오를 때면 네온사인 규제다, 자동차 10부제다 하고 법석을 떨다가도 유가가 조금 안정되는가 하면 금방 유야무야되고 만다. 에너지절약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저자
Hisayoshi Urashi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3
권(호)
46(10)
잡지명
계장(A025)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9~31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