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연 도금 강판의 생산 성능-현대 기술적 화제와 과학적 필요성(Zinc-based coating production capabilities for steel sheet: current technical topics and scientific needs)
- 전문가 제언
-
□ The 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가 북미 자동차의 연료탱크 시장을 폴리머에서 되찾기 위한 새로운 노력을 주도하고 있다. 엄격한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의 가솔린 증기방출에 관한 규제가 2004년에 시작된다. 강철연료탱크를 위한 다국적 전략연합은, 도금강판이 사실상 오염 가스 방출이 없고 비용효과적인 탱크를 생산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잡한 형상의 성형을 할 수 있고 15년의 용접이음매수명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계속 선전하고 있다.
□ 용해된 아연도금 금속과 불순물에 젖지 않는 용해탱크 합금용 공업재료나 표면처리가 아연 도금 강판의 생산성과 비용절감을 위해 필요하다. 이 합금은 부식저항뿐 아니라 회전 및 굽힘 응력과 마모에 견뎌야하고 아연도금과 갈바닐 합금은 약 460℃까지, 그리고 알루미늄-아연-실리콘 도금은 600℃까지 견뎌야 한다.
□ 아연도금강판의 최종페인트 된 외관최적화는 중간의 물결길이를 평판에서 측정했을 때 약 0.5~2.7mm인 물결모양으로 간접적으로 관리가 된다. 물결모양관리의 이해는 변형된(성형 가공된)패널에 연장되어야하는데 이것은 소성경화강(bake-hardenable steel)의 소량(<0.4%)의 항복점 연신에서 나타나는 도금강의 오렌지껍질효과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 북미 철강회사들은 자동차 적용기술 지원 프로그램을 수년간 유지해왔다. 주도적인 예는 미국 Michigan주 Troy시에 있는 US Steel Automotive Center이다. 프로토타입 부품들이 신제품 출하 수년전에 유한요소 분석 컴퓨터모델의 성형시뮬레이션을 수행했다. 출력은 재료의 기계적 성질, 마찰계수에 근거하여 구워서 경화시킨 2상 강판을 사용하여 성형 중에 두께가 얇아지는 동안 임계변형을 피하고, 개선된 요구에 맞는 용접부품 강성이나 때린 자국에 대한 저항이 목적이다.
- 저자
- Goodwin, F. E.; Silva, E. 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30(8)
- 잡지명
- Iron & Steelmak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13~122
- 분석자
- 신*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