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기질위에 투명, 반사 빛 차단 및 전도성 ITO코팅을 위한 습식화학처리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국내 기업 중 삼성코닝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에 사용된 ITO코팅유리와 최근 터치스크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에 주로 사용되는 고투과성 ITO다층막 필름코팅 생산차비를 갖추었다. 2005년까지 연평균 25%이상의 고 성장이 예상되는 소재이고 약 1500억원의 수입대체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 국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ITO코팅유리는 컬러휴대폰 기판인 초저 저항(0.5mm, 4Ω)ITO코팅유리와 휴대폰 폴더 배면유리 0.3mm 초박판(超薄板)ITO코팅 유리 등이다. 비슷한 사업으로서, 삼성코닝이외 LG, 한화, 신안SNP 및 수개의 중견기업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실정으로서 향후 박막코팅사업은 시장규모가 확대되는 추세이다.
□ 박막코팅을 위한 sol은 일반적으로 Alkoxide전구물질이나 또는 Non-alkoxide 전구물질을 사용해 만들 수 있다. Alkoxide전구물질로 우수품질의 박막이 만들어 질 수 있으나 후속 처리공정 중 물질이 불안정하고 취급이 쉽지 않다. 제조된 나노입자들이 건조, 숙성 및 소결과정 중 불안정하여 응집체로 뭉쳐있어 원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전구물질의 형태, sol용액 pH, 반응시간 등을 종합한 최적의 반응조건을 찾아야 한다.
□ 국내업체들이 현재사용하고 있는 ITO코팅유리 또는 필름은 Sputtering, Negative sputtering ion beam 및 플라즈마 증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은 상용기술로서 그 기술성이 입증되어 있으나 고가의 공정이다. 나노입자를 이용한 sol-gel공정은 국내에서 아직 상용화되어 있지 않다. 낮은 기판저항이 필수불가결일 때는 sol-gel프로세스 채택에 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 기술이 실험실적으로 성공한 기술로서 상용화기술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시험을 더 거쳐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자
- Aegerter, M. A.; Al-Dahoudi, 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27(1)
- 잡지명
- Journal of Sol-Gel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1~89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