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생산과 가공에 있어서 물의 양과 질(Water in food production and processing: quantity and quality concerns)
- 전문가 제언
-
□ 세계 여러 곳에서 좋은 물은 이미 부족하거나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의 일상생활과 산업생산에 많은 물이 필요하지만 식량을 생산하고 가공하는 데만도 전체 물 사용량의 3분의 2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제는 지구 어느 곳에서도 식량을 생산, 가공하고 제품을 생산하는 데 대량의 물을 필요로 하여 물의 재활용은 불가피하리라 본다.
□ 이미 폐수를 재활용하고 있는 곳은 여러 곳이 있으며 이러한 지역에서 물의 오염 때문에 생기는 질병 역시 늘어나고 있다. 이젠 이러한 문제를 건강과 함께 생각해야 할 시기에 이르렀다. 식품가공 산업체에서는 안전을 위한 조치(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를 오래전부터 취해오고 있다. 세계 여러 나라들은 이러한 조치의 불가피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국제보건기구는 생산자와 가공분야에 기준을 만들어 적용하도록 추천하고 있다.
□ 식량생산가공에 물의 질과 양에 관한 문제는 물론 물의 수요, 오염원, 물의 재활용이 안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도 식량생산이나 식품가공 분야에서 수질이 중요하지, 얼마만큼 물이 요구되고 환경인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잘 알고 있지 않는 것 같다. 다행히 EU의 여러 나라와 일부 선진국에서는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며 식품안전기관이나 환경보호기구에서도 새로운 규정과 법률을 만들어 수질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 다행히 우리는 아직까지는 물 부족 국가에 속하지는 않고 있지만 국민 한사람이 쓰는 물의 양은 어느 선진국에 비해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도 멀지 않아 물 부족국가에 속할 가능성을 예고한 바 있어 물을 절약하고 재활용하는 습관과 기술이 필요하다. 한편 잘못 처리된 폐수를 농작물에 활용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질병과 건강 문제에 대한 연구와 감시도 절실히 필요하다.
- 저자
- Kirby, Roy M.; Bartram, Jamie; Carr, Richard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14(5)
- 잡지명
- Food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83~299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