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노입자에 대한 기상합성법에 대하여
- 전문가 제언
-
□ 나노 입자의 기상합성 제조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접근법을 간단 명료하게 설명하였으나 대기에 의한 에어로졸(atmospheric aerosol)‘, '극초음파 플라스마 입자 증착법(hypersonic plasma particle deposition)’, 및 ‘정전 분무법(electrospray)’도 검토항목에 추가하였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되고, 이러한 방법론 중에 핵 생성 이론, 핵입자의 성장, 응축, 및 응집에 대한 간단한 검토, 나노 입자의 기상합성법에 대한 장단점 비교, 및 입자의 간단한 응용 예 등에 관한 간단한 견해가 포함되었을 것으로 기대했다.
□ 화염 합성법에 의한 나노 입자급(30~50nm급)으로 TiO2, SiO2, SnO2, Al2O3 및 카본블랙 등이 이미 상업적으로 Degussa사 등 업체에서 생산하였으나 복합화합물, 단독적인 금속의 나노 입자, 및 금속입자를 도핑한 복합물 등에서는 아직도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 국내의 나노 입자 연구는 주로 출연연구기관이나 대학 등에서 국책과제로 하여 입자의 기본 물성과 제조방법에 대한 기초연구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고, 이미 상업성이 있고 다방면으로 응용성이 넓은 TiO2, SiO2, Al2O3 및 카본블랙 등과 같이 취급하기 쉬운 산화물 등은 외국 업체와의 경쟁성에서 생존할 수 없으므로 복합물 및 도핑된 화합물 제조기술개발분야에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 현재 시장성이 좋은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TiO2, SiO2, Al2O3 , Fe2O3 및 카본블랙 등과 관련된 재료를 개발하기 보다는 전․자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및 화학적 특성 등을 나타내는 복합적 재료개발에 연구의 초점이 집중되어야만 상품개발의 선도적 입장과 시장 선점에 유리하리라고 생각된다.
- 저자
- Swihart, Mark T.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8(1)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Colloid & Interface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27~133
- 분석자
- 임*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