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시멘트 업계의 대체연료 사용(Use of alternative fuels in the Polish cement industry)
- 전문가 제언
-
□ 시멘트 생산에서 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부분이 클링커를 생산하는 노(爐)에서 연소시키는 유연탄과 같은 연료의 비용이다. 이 부분에서 소요되는 연료의 비용이 시멘트 전체 단가의 약 40%에 해당하기 때문에 연료 부분의 원가절감이 시멘트 업계로서는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다.
□ 한편 우리 사회에서 배출되는 다양하고 엄청난 양의 쓰레기와 폐기물들이 그동안은 단순히 땅속에 매립되거나 소각되었는데, 이러한 폐기 과정이 장시간 지속되는 동안에 직접적인 비용뿐만 아니라 매립에 따른 방대한 토지의 오염과 소각에 따른 대기의 오염 등이 계속해서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실정이다.
□ 따라서 폐기물을 이용해서 시멘트 생산의 대체연료로 사용할 수만 있다면 시멘트 업계는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사회 전체로서는 매립과 소각에 따른 경비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어 그야 말로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를 거둘 수가 있는 것이다.
□ 이러한 요구에 부응해서 미국과 유럽의 여러 나라들은 지난 10여년에 걸쳐서 도시의 생활 쓰레기와 각종 산업 폐기물들을 이용한 대체연료를 만드는 공정과 연소특성 등을 확립하여 이미 여러 시멘트 공장들에서 기존의 연료와 혼합해서 성공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의 사용량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 전 세계적으로 시멘트는 연간 약 15억톤 정도가 생산되고, 우리나라는 약 2,500만톤 정도를 생산하는 시멘트 생산 대국이다.
□ 우리나라 시멘트 산업은 1979년부터 클링커 소성 연료를 벙커-C유에서 유연탄으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1997년부터 에너지 절약과 자원 재활용을 위해서 폐타이어 등을 이용한 대체연료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사용량이 기존 연료에 3~4% 정도로서 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 전술한 대로 폐기물 대체연료의 엄청난 파급효과를 고려해 볼 때 국내에서도 폐기물로부터 대체연료를 제조하는 공정과 기존 연료와 혼합된 연료의 연소특성 및 이 연료가 노에서 연소되는 최적조건 등을 적극적으로 연구해야한다고 판단된다.
- 저자
- Mokrzycki, Eugeniusz; Uliasz-Bochenczyk, Alicja; Sarna, Mieczyslaw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74(1-2)
- 잡지명
- Applied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01~111
- 분석자
- 이*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