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재료의 상용성에 관한 이해

전문가 제언
□ 계면 화학을 설명하기 위한 화학전위도표의 사용은 산화물 사이의 화학반응과 계면에 걸친 조합된 상호확산의 관점에서 논의된다. 둘의 진행에 대한 추진력은 화학 전위값에 의해 결정된다. 화학전위도표의 기하학적인 특색은 2성분 산화물의 원자가 안정성과 산화물을 구성하는 이중 산화물의 안정화 에너지에 관계되어진다.

□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전해질, 두 개의 전극, 상호 연결물 그리고 다른 관련된 재료로 구성된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은 약 1200~1400℃에서 조립된다. 그것들에 요구되는 운전시간은 약 1000℃에서 50000시간이다. 이것은 높은 온도에서 재료의 화학적 반응이 좋은 효율과 높은 안정성을 가지기 위해서, 그리고 재료의 전기화학 전지의 적절한 기능수행이 요구되어지는 재료의 전기화학적 물성에 결정적이다. 다른 물질과 환경에서의 화학적 융화성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설계에 고려되어야 한다.

□ 고온에서의 복잡한 화학적 단계의 이해를 위해서, 열역학적 자료 구성과 복잡한 화학평형 계산을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의 진전이 필요하다.

□ 산화물 연결제와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개발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제1세대로 분류된다. 이 과정에서 재료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해결책을 얻고 최적화 하는데 열역학적인 연구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슷한 접근방법이 AMTEC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같은 고온의 공정과, 리튬 전지와 같은 저온장치에도 응용할 수 있다.
저자
Yokokawa, Harumi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3
권(호)
33
잡지명
Annual Review of Materials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81~610
분석자
이*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