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연속적인 탈 이온방식을 이용한 초 순수 생산

전문가 제언
□ 산업의 발달로 물을 필요로 하는 산업분야가 제약, 반도체, 화공약품합성 등, 다양해짐에 따라 물의 품질도 다양하게 요구되어졌다.

□ 1950년 전에는 순수를 얻기 위해서는 증류장치에 의한 증류수를 얻는 정도였지만 에너지 비용이 많이 들고 다량의 순수를 생산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 그래서 합성교환수지에 의한 순수생산이 이루어졌고 방식도 양이온 교환수지에 의한 방법, 음이온 교환수지에 의한 방법, 혼합방법 등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 그러나, 이방법도 이론 순수인 18.2MΩ/cm 근처로 순수를 얻을 수는 있었으나 염산과 가성소다 같은 강산과 강알칼리가 수지 재생에 소모되어야만 했고 그 양 또한 순수 20톤 생산에 2~3톤이 소모되는 약점을 지니고 있었다.

□ 1980년경부터 역삼투막에 의한 정수 방법이 보편화되면서 적은 유지비로 다량의 순수 생산이 가능했고, 산업의 여러 부문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RO/DI 혼합방식은 MBDI기술에 비해 약품을 90%나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 2002년에는 EDI기술이 도입되기 시작 했는데 흡착, 농축, 재생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에너지는 물론 약품 등 의 유지비용, 설치면적이 획기적으로 줄어들어 전 세계적으로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이미 산업분야의 정수 기술이 무한히 발전되고는 있으나, 여과막이나 필터의 재질에 따라 그 효율이 많이 좌우되므로 우리의 현실에선 그런 다공 담체를 개발하는 것이 향후 정수 산업분야에서 상대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여기에서는 주로 산업용으로 소요되는 초순수의 생산에 따른 기술을 소개하고 그 메커니즘을 비교하였으나 앞으로는 먹는 물에 대해서도 다양한 정수시스템이 개발되어 향후 물 부족사태에 대비한 독자적 기술을 보유하도록 연구개발이 꾸준히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저자
Fedorenko, V. I.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37(3)
잡지명
Pharmaceutical Chemistry Journal (Translation of Khimiko- Farmatsevticheskii Zh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57~160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