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극저온 조정을 통한 초고도 영상 모세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Ultra-high resolution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by using cryogenic modulation)

전문가 제언
□ 극저온 조정 이중 모세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의 특징은 두개의 모세관 칼럼을 가지며 이 두 칼럼의 접점에 극저온 트랩이 존재한다. 이 극저온 트랩은 위치를 움직일 수 있어 용질을 갇힌 모드와 방출 모드로 취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 포집된 용질은 극저온 상태에서 포집상태이나 방출 모드로 되면 오븐의 가열로 펄스를 형성하며 2차 칼럼으로 들어간다. 각각의 칼럼은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1차 칼럼에서 분리 안 된 샘플은 2차 칼럼에서 분리되어 그 펄스가 검지기에서 검출된다.
- 보통 두 개의 칼럼을 가지고 있더라도 그 용량이 두 칼럼의 용량의 합으로 표시되는 기존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비하여 이 GCxGC는 1차와 2차 칼럼의 용량의 곱으로 표시되어 용량이 대폭 커진다. 샘플의 구성 성분이 많아 용량의 제한된 퍼센트를 초과하면 성분과 그 함량을 나타내는 봉우리가 겹칠 수 있어 분석의 어려움을 겪는 고전적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비하여 이 기구는 2차원으로 성분을 표시할 수 있어 비교할 수 없이 유리하다고 주장한다.

□ 이 기술의 제한 요소로서 2차원으로 성분을 표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아직 개발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검지기는 극저온 트랩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직 응답 데이터를 시간에 대한 함수로 연속 데이터를 처리하기만 한다. 이를 극저온 트랩의 조정시간을 기준으로 2차원으로 바꿀 수 있어야 화학 지도 위의 독립된 물질이 점으로 나타나기도 하는 이 크로마토그래피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

□ 본문에서는 다만 극저온으로 표시되었을 뿐 그 트랩의 실제 온도가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 언급이 없다. 그것이 고정된 극저온인지 아니면 샘플과 그 성분에 따라 가변적인지 논급하지 않아 의문을 자아낸다. 또 LMCS 조정기에 질소와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것이 액체 상태의 극저온 냉매로 작용하는지 아니면 이 조정기에서 기계적으로 극저온을 유지하는지도 설명이 없다.

○ 끝으로 인삼 추출물을 분석하였다는 점이 인삼 생산국인 한국으로서는 흥미 있는 사실일 것이다.
저자
Marriott, Philip; Ong, Ruby; Shellie, Robert; Western, Robert; Shao, YaJing; Perera, Ranjini; Xie, LiLing; Kueh, Ann Jang; Morrison, Paul D.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3
권(호)
56(2-3)
잡지명
Australian Journal of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187~191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