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용식물: 감초 및 메리스토트로피스의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 of Plants of Glycyrrhiza L. and Meristotropis Fisch. et Mey Genuses)
- 전문가 제언
-
□ 식물성 성분을 진탕하면 지속성 거품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계면활성물질을 사포닌으로 총칭한다. 사포닌에는 용혈성, 어독성, Sterol과 난용성 복합체 형성능을 갖는 것이 많고 트리테르펜 사포닌의 게닌으로는 Oleane 골격이 가장 많고 기타 호판, 담마란, 라노스탄, 유판, 리모노이드, 쿠아시노이드, 루판, 우르산 골격의 트리테르페노이드도 약용식물의 유효성분으로서 분류된다. 이들 Genin 중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 당 부위에 Glucuron 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히 산성 사포닌이라고 한다.
□ 사포닌에는 거담, 진해, 소염, 해열, 항종양, 진해, 배농, 대사기능촉진, 강장, 항균작용 등이 입증된 것이 많은데 정제된 상태로 이용되는 것은 감초성분의 Oleane계 사포닌인 글리시리진과 그 사포게닌인 글리시르헤틴산이며 한방에서는 생약추출물로도 사용된다.
□ 인삼과 함께 약방에 감초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가장 많이 쓰이는 생약중의 하나인 감초에는 이와 같이 종류도 많고 이에 따른 성분상의 분포도 다양하므로 국산이냐 중국산이냐 어떤 감초를 사용하였는가에 따라 그 효능에 차이를 보일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므로 가장 중요한 것은 식물종의 정확한 분류를 통하여 그 기원을 밝혀놓는 것이 필수적인 일이며 생약 중에는 같은 이름을 가지면서 기원이 다른 식물들이 비일비재하므로 체계적인 분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한방처방의 관점에서 볼 때 사포닌만이 유일한 성분이 아니고 감초의 경우는 페놀성성분에 약효가 뚜렷한 것으로 밝혀진 것이 많으므로 품질관리나 규격화의 관점에서 보면 사포닌 한 성분군만으로는 불충분 하며 이외의 성분상들도 포함한 Pattern 분석도 필요한 과제로 사료된다.
- 저자
- Ammosov, A. S.; Litvinenko, V. 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37(2)
- 잡지명
- Pharmaceutical Chemistry Journal (Translation of Khimiko- Farmatsevticheskii Zh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83~94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