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TER 진공용기 제작을 위한 선진 용접기술(Towards advanced welding methods for the ITER vacuum vessel sectors)

전문가 제언
□ 전자 빔이나 레이저 빔을 진공이나 가스분위기 중에서 고밀도로 집속하여 용접하는 고밀도 에너지 용접 기술은 MIG 용접이나 TIG 용접에 비해 깊은 용입 용접이 가능하고 용접부의 품질이 우수하여 ITER 진공용기와 같이 부가가치가 높은 두꺼운 구조물의 용접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현재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레이저 빔 용접과 기존의 아크 용접을 동시에 사용하여 두 용접법의 장점을 최대로 발휘하는 21세기의 새로운 용접법인 레이저 아크 하이브리드 용접기술에 대해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특허출원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에 비해 국내의 연구개발 활동은 초보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핵심기술에 대한 특허의 출원은 없다. 이와 같은 국내외의 연구개발 활동을 비교해 볼 때, 국내 레이저 아크 하이브리드 용접기술을 확보하고 대외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국내 관련기관에서 레이저 아크 하이브리드 용접기술의 국산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연구개발에 참여해야 하며 이를 위한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과 육성이 필요하다.

□ 레이저 아크 하이브리드 용접 기술은 기초연구단계를 벗어나 응용 기술의 개발단계에 있으며,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장치의 개발과 하이브리드 용접 기술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또한 전자빔 용접 기술의 개발은 용접장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활용범위를 넓히는데 핵심기술인 국부 진공, 부분 진공 등과 관련된 진공시스템 기술을 포함하여 전원 공급 장치, 전자총 등의 개발이 진행 중이다. 향후 차세대 에너지에 대한 연구개발에서 ITER 진공용기와 같은 구조물의 용접기술을 개발해야 하는 우리나라는 선진국과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첨단 생산기술인 레이저 아크 하이브리드 용접 기술에 대한 개발과 자료의 구축에 주력해야 하며, 본고에서 기술한 선진 용접기술의 내용은 매우 유익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저자
Jones, L. P.; Aubert, P.; Avilov, V.; Coste, F.; Daenner, W.; Jokinen, T.; Nightingale, K. R.; Wykes, 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69(1-4)
잡지명
Fusion Engineering and Design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15~220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