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공학기술로생산된유전자변형식품의안전성(The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produced through biotechnology)
- 전문가 제언
-
□ 유전자변형식품이란 유전자변형농작물과 미생물을 재료로 한 식품을 총괄적으로 일컫는 말로서 GM 작물을 이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유전자변형작물을 생산하는 이유로서는 병충해방제를 위한 내병성과 내충성, 품종육성과 제초제 내성품종육성이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GM 작물을 이용한 유전자변형 식품의 문제점으로는 (1)안전성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2)알레르기 반응, (3)항생제 내성, (4)환경오염 문제 등이 속속 발견되고 있다.
□ 유전자변형작물의 국가별 재배현황(1997년)을 보면 미국 63.3%, 아르헨티나 10.9%, 캐나다 10.2%로서 남북미가 전체의 84.4%로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여기에 중국의 14.1%를 포함하면 98.5%나 된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2년 3월 28일 발간된 미국 농무부(USDA) 보고서에서는 유전자변형 종자파종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하였으며, 유전자 변형 옥수수의 경우 32%, 콩은 74%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바이오 산업기구(BIO)에 의하면, 유전자변형농산물에 대한 농가의 신뢰가 높아졌음을 의미하는 것이라면서 살충제를 덜 쓰면서도 해충에 강하고 수확이 늘어나는 농작물을 생산해 농민들이 큰 소득을 얻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유전자변형 농산물이 궁극적으로 환경과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논란은 더욱 치열해질 가능성이 크다. 미국측과는 달리 유럽환경청(European Environment Agency)은 최근 발표한 연구보고서를 통해 현재 EU에서 상업적인 용도로 일반에 유포되고 있는 유전자 변형작물들의 유전자 확산가능성에 대해 경고했다.
□ 이러한 논란이 되고 있는 유전자변형농작물을 이용한 유전자변형식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독성학적 검정방법이 계속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사용한 유전자와 운반체에 대해서도 심도있는 검정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Ano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71(1)
- 잡지명
- Toxicological Scie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8
- 분석자
- 최*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