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성의 추구: 공정 시스템 공학을 위한 도전
- 전문가 제언
-
□ 지속 가능한 발전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 “지속 가능한 상품과 공정은 자원의 소모와 폐기물의 발생을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절제하고 인간의 욕구를 만족시키며 기업체에 오래가는 경제적 가치를 마련해주는 긍정적인 공헌이다.”
- 여기서 말하는 “수용 가능한 수준”이란 기술적 해답을 의미하며 화학공학자의 공정 시스템 관리가 요구되는 부문이다.
□ 지속 가능한 발전의 성취는 기존의 공학의 영역을 뛰어넘어 생태학, 사회학과 경제학을 포함한 광범위한 지식이 동원되어야 한다.
○ 한 상품이나 이것을 제조하는 공정은 수명 사이클 평가 기법으로 초기의 원료로부터 생산을 거쳐 이의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 재료의 필요량과 폐기물 발생 등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 태양열 에너지 같은 자연이 주는 혜택과 인간의 창조성 같은 무형의 재산을 계량화하는 기법을 개발해야 한다.
□ 일반적으로 지속 가능한 공정은 경제성에서 불리하여 기업체의 이익에 반한다고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오히려 기업체의 명성, 타 기업과 전략적인 협력이나 인간관계 등 무형 재산 뿐 아니라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주주의 이익을 보장하는 유형재산의 증가에도 크게 기여한다는 것이 인식되고 있다.
○ 예를 들면 시멘트 공장에서 폐타이어를 연료로 사용하고 하수 오니(汚泥)를 원료에 섞어 질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은 생태계의 충격을 줄이면서도 회사의 이익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준다.
- 폐기물의 재활용은 지속 가능한 발전의 가장 큰 목표이다.
□ 위에서 언급한 전공 분야의 중첩된 고려는 선의의 공업적 결정이 생태학적 또는 사회적으로 의외의 결과를 가져 올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 예를 들면 납땜에서 유독한 납 대신 비스무스를 사용하면 하나의 독성물질을 피할 수 있으나 비스무스 광에서 납이 부산물로 생산되기 때문에 이의 용도가 없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 다른 예로 자동차의 연료 효율이 높아지면 연료의 비용이 줄어들어 차량의 주행 거리가 더 늘어난다는 부작용도 생각해야 한다.
- 저자
- Bakshi, Bhavik R.; Fiksel, Joseph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49(6)
- 잡지명
- AIChE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350~1358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