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단기적 에너지 문제에 대한 도전(The Near-Term Energy Challenge)

전문가 제언
□ 현재 지구상의 에너지는 대부분(84%) 석탄, 천연가스, 석유등의 화석에너지에 의존하고 있다. 화석에너지는 고갈되는 에너지원으로서 석유의 경우 향후 가용연한은 40년, 천연가스는 60년, 석탄의 경우 230년으로 전망하고 있다. 석탄의 경우 매장량은 많으나 환경문제와 지구 온난화 문제의 주범으로서 효율 향상을 통한 소비량을 줄이고 CO2저감을 위한 많은 해결과제를 안고 있다. 단기적으로 C/H 비율이 낮은 CH4 또는 H2 쪽으로 사용이 증대될 것이나 수소의 경우 화석에너지로부터 생산되므로 장기적으로 태양에너지 또는 원자력으로부터 수소를 생산해야 될 것이다.

□ 장기적으로 새로운 대체 에너지가 개발되어 화석에너지의 수요를 대신할 것으로 기대하나, 가까운 장래에 경제적으로 기존의 석유와 천연가스의 부족을 보완할 에너지원의 출현은 기대하기 곤란하다고 보며, 지구상에 무진장 매장되어 있는 비전통적인 중질유인 Bitumen, Tar Sand, Oil Shale 등을 적극 개발하고 또한 해저에 무진장 매장되어 있는 메탄하이드레이트로부터 천연가스를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 국내에서는 KAIST 등에서 메탄하이드레이트 중에 CH4와 CO2를 치환하고 회수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한국해양연구원이 러시아, 독일 등과 공동연구를 추진하여 오호츠크해(Sea of Okhotsk)의 메탄하이드레이트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해 해외 석유, 천연가스 탐사는 물론 Btumen, Tar Sand등의 중질유 개발에도 참여하는 국가적인 노력을 통해 다가올 에너지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돌파구를 찾아야 할 것이다.
저자
Kishore Mohanty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3
권(호)
49(10)
잡지명
AIChE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454~2460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