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음식평가와 건강에 있어 유지의 지방산 측면 변형효과 (The impact of the changing fatty acid profile of fats on diet assessment and health)

전문가 제언
□ 요사이 건강식품을 논하면서 많이 나오는 단어가 트랜스 지방산인데 이는 자연에 소량 존재하나 대부분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예를 들면 부분적 수소첨가 반응으로 식용유들을 굳어지게 만들어 변질을 방지하고 장기간 맛을 유지하고 보관할 수 있는 마가린, 쇼트닝 등을 만드는데 이들 식품에 트랜스 자방산이 많이 함유된다. 수십 년 간 포화 지방산이 나쁘다 하여 불포화 식용유를 선호하고 이 식용유제품을 발전시킨 것이 트랜스 지방산인 것이다.

□ 트랜스 지방은 신체 내에 흡수되면 나쁜 콜레스테롤(LDL-C)을 높이고 혈관벽에 프라그를 형성하기 때문에 심장질환이나 뇌졸중을 일으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트랜스 지방이 LDL-C를 높이는 작용은 포화 지방보다는 약한 것이라 해도 포화 지방산이 동시에 좋은 콜레스테롤(HDL-C)을 높이는 기능을 갖고 있는 데 비해 트랜스 지방은 그렇지 못해서 결과적으로 더 나쁘다는 것이다.

□ n-3, n-6 지방산이란 오메가-3, -6 지방산이라고도 하며 여기서 n이란 첫번째 이중결합이 있는 탄소서열을 말한다. 이들 n-3 불포화 지방산은 콩기름이나 카놀라 기름에 존재하며 eicosapentaenoic acid (EPA), docosahexaenoic acid (DHA)는 주로 생선에 많이 들어있다. n-3 지방산 섭취가 부족하면 심장병, 주의부족증, 우울증 등의 이상이 있을 수 있어 이들을 치료하는데 보조식품으로 이 지방산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권장한다. 특히 EPA와 DHA성분이 많이 있는 식품이 좋다.

□ EPA의 생합성 과정이 알려졌는데 이들은 여러 대사 경로를 가지고 있다. EPA의 특성을 이용할 수 있는 형질전환 역조작이 연구되고 있으며 본문에서 나타났듯이 종유를 형질전환시켜 이 중요한 지방산을 많이 함유시키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감소하는 물고기 자원을 대체할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 부정적인 면으로 EPA나 DHA의 과다 섭취는 모든 불포화 지방산이 그렇듯이 인체 지방의 과산화반응을 가져와 자유 라디칼들을 생성하여 발암물질, 염증, 동맥경화, 노화 등의 여러 다른 이상증세를 가져온다.
저자
Kris-Etherton, Penny M.; Etherton, Terry D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3
권(호)
16(3)
잡지명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73~378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