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멕시코에서의 연료전지의 미래 - 향후 천년을 대비하여
- 전문가 제언
-
□ 수소 등을 연료로 활용하는 연료전지는 오염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또한 그 자원이 무한하여 미래에너지의 핵심 대안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으며, 연료전지 기술개발은 미국이나 일본 등의 선진국이 중점 기술개발과제로 선정하여 개발 중이고, 미국의 경우는 Freedom Car 계획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10년경에는 자동차 탑재의 연료전지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으리라고 예견하고 있음
□ 연료전지는 혁신적인 파급효과를 지니고 있어, Mexico City의 예에서와 같이 극심한 자동차 배기가스의 오염으로부터 고통받는 대도시에서는 기술이 상용화되기 이전에라도 활용을 추진 중이며, 우리나라도 서울의 대기오염을 심각하게 고려해야할 시점에 이르고 있어 그 실용화를 앞당기는 기술개발을 시도해볼 가치가 있다고 사료됨.
□ 수소 연료전지 개발에 따른 문제점
○ 과학적으로는 증명되어 있으나 상업용 산업생산에는 어려움이 따르며 기존 전력의 생산단가와 경쟁 가능한 생산공정 개발이 관건임.
○ 기존 에너지체계와 경쟁하기 위해 요구되는 요건
- 기존 자동차에 비견될 수 있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개발
- 안전성 보장
- 에너지 재충전의 신속성, 안전성, 편리성이 확보되어야 함.
- 자동차의 시동 및 출발 반응시간이 신속해야 함.
○ 수소 생산에 따른 문제점
- 탄화수소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기존 공정은 단가가 비쌈.
- 수소의 폭발성으로 인해 저장이 용이하지 않음.
□ 수소의 저장기술이 확보되기 전이라도 다음과 같은 잠정적인 이용방안이 가능함.
- 수소 대신에 탄화수소의 직접적 연소를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
- 액체메탄올 연료전지를 직접 자동차에 이용하는 방안
- 메탄올 연료전지의 성능은 아직까지 실제 수송에 이용하기에는 성능이 너무 낮아 기술개발이 더 필요하고 또한 현재기술로는 백금촉매의 사용이 필수적이라는 문제점도 있음.
- 저자
- J Ramirez Salgado J Marin Cruz A Estrada Martinez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117(1-2)
- 잡지명
- Journal of Power Sour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02~109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