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 지역의 질소 배출과 퇴적 전망(The European perspective on nitrogen emission and deposition)
- 전문가 제언
-
□ 질소 오염물이 환경에 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 즉 인간의 건강, 가시 성, 농작물 피해, 산성화, 부영양화, 지구 온난화 등에 대하여 각 국은 발생 경로, 피해 내용 및 범위, 대책 및 감소 방법 등에 대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연구 노력을 하고 있다. 유럽 국가들은 피해에 공동 대처하기 위해 각종 조약, 지시 등을 통하여 절감 목표를 수립하여 실천하고 결과를 평가하고 있다.
□ 유럽에서 이산화유황 가스 등 유황 오염물은 현저하게 발생량이 감소되었지만 질소 오염물은 감소 효과가 낮거나 현상 유지 상태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이유 중 하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질소 화합물 사이의 밀접한 연결 즉 질소의 케스케이드(cascade) 효과 때문이다.
□ 질소 오염물 감소를 위해 반응성 N의 생산과 특정 지역의 수입 또는 사용 제한도 제안하고 있는 현실을 우리도 고려해야 한다.
□ 환경부는 수질 환경 기준 항목을 확대하여 생물학적 수질평가 지표', '부영양화 지표' 및 '퇴적물 관리기준' 등 인체, 생물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다차원적 평가지표를 마련키로 했으며 또한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사업장의 대기 오염 물질의 배출 총량 규제를 2007년부터 적용키로 하는 등 오염 물질의 항목 규제에서 총괄 내지 통합 규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좀 더 효율적인 오염 배출 관리를 위해 다음 사항을 고려한 정책 수립 및 연구 수행을 제언한다.
○ 오염 물질의 통합 관리 및 통합 대책 수립(전체 오염물, 질소, 유황, 오존 등 개별 화합물)
○ 전체 환경의 오염 물질의 감소 목표 설정과 목표 관리
- 저자
- Jan Willem Erisman, Peringe Grennfelt, Mark Sutto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29(2-3)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11~325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