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 콘크리트 내구특성(The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a review )
- 전문가 제언
-
□ 고강도 콘크리트는 단위면적당 부재단면의 축소로 사용 면적이 넓어지며 단면 축소로 인한 자재수량 감소와 단위 무게 당 강도 및 단위제조 경비 당 강도가 크다. 이런 특성 때문에 구조물의 경량화, 장대화, 고층화에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내구성 및 화학저항성에도 유리한 건설재료가 된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는, 국내에서 1999년 1월에 발표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400㎏/cm2이상으로 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바야흐로 고강도 콘크리트 이용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단계이다.
□ 국내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해서 그 동안 대학 및 연구소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구조물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건설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을 겪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990년 이후 신도시를 중심으로 아파트의 초고층화가 시작되었고 초고층부분의 콘크리트 펌프 압송성능향상과 더불어 바다모래 사용 등에 따른 콘크리트 내구성 감소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고강도 콘크리트 사용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부분적인 시험시공이 시작되었으며 시공성능 향상을 위한 유동화콘크리트 개념도 함께 발전하였다. 유동화는 작업능률 향상뿐만 아니라, 진동감소, 변형감소 및 골재 분리성능 감소 등 높은 품질 확보방안으로서도 필요하기 때문에 이 기술을 적극 개발해야 한다.
□ 고강도 콘크리트 시멘트로서 보통포틀랜드 시멘트가 많이 사용되고 여기에 실리카 흄(실리콘 또는 철-실리콘 등의 규소합금을 전기로에서 제조할 때 배출되는 가스를 집진하여 얻은 초미립자), 고로슬래그, 비산회 등을 배합하면 입자가 구형이므로 윤활효과에 의해서 시공성이 개선되고 후기 강도 증진에 유리하여 장기강도 발현목적으로 사용된다. 골재는 용적의 65~85%를 차지하므로 중요하고 그 역할은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 수밀성능을 예상된 내구연한까지 보전시켜야 하고 동시에 콘크리트반죽의 건조수축을 완화시켜야 한다. 또한 고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W/C비를 낮게 해야 하는데 이 비가 적으면 시공성이 떨어지므로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해야 한다. 위의 혼화재료를 사용할 때는 시험배합을 거쳐 확인 후 사용해야 하고, 또한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할 때도 마찬가지로 시험배합을 거친 성능확인이 필수적이다.
- 저자
- Aitcin, P. 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25(4-5)
- 잡지명
- Cement & Concrete Composit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09~420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