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용품에 이용되는 표면활성 인지질(Surface-active phospholipids for personal care)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에서는 자연에서 만들어지는 인지질(phospholipids), 인공으로 만든 인지질(phospholipids), 인공의 인베타인(phosphobetaine), 인공의 인큐트(phosphoquats)에 대한 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그 활용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 인지질하면 세포막의 구성분자로 알려져 있으며, 세포막은 10나노미터 안팎의 얇은 막이다. 세포막은 인지질과 콜레스테롤 같은 지방분자들의 이중막으로 이루어져있고, 인지질 사이에 여러 기능을 하는 여러 가지 단백질들이 놓여있다. 인지질이 이중막으로 세포질을 감쌀 수 있는 것은 인지질이 친수성 분자들과 소수성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 인지질은 세 개의 지방산이 글리세롤의 골격에 에스테르 결합으로 만들어진 트라이글리세리드에 두 개의 지방산이 글리세롤에 결합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는 지방산 대신 인산기를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 두 지방산 중 하나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탄소-탄소 간의 이중결합에 의한 구조적인 변화와 막의 유동성(fluidity)을 갖게 한다. 또 소수성인 지방산이 비극성 물질과 쉽게 섞이게 하고, 양성이온은 표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이러한 특성을 가진 물질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비누나 화장품에 원료로 쓰고자하는 노력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몇 종류의 인공 인지질의 구체적인 성질과 또 자연산 오일활용으로 만든 제품의 성질도 기술하고 있다.
□ 최근 일본 고세화장품은 동경大와 공동연구를 통해 피부노화와 세포의 인지질이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인지질이 관여하는 세포노화의 기전을 해명하여 항노화 화장품 개발에 활용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자연산 인지질을 생산하거나 공급하는 회사가 없고, 실험실에서 조차 외국에서 수입해서 쓰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인지질은 기능도 중요하고 수요처도 많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 저자
- OLenick, Anthony J., Jr.; Smith, Dea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3
- 권(호)
- 118(4)
- 잡지명
- Cosmetics & Toiletri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3~48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