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라이트 공석강과 과공석강의 강도와 미세조직과의 관계(Strength-microstructure relationships in pearlitic eutectoid and hypereutectoid steels)
- 전문가 제언
-
□ 과공석강은 펄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혼합조직으로 탄소량이 많아질수록 시멘타이트의 양이 증가하여 경도가 더욱 증가한다. 그러나 펄라이트이 양이 적어지므로 인장강도와 항복강도가 감소하고 연신율이 작아져서 취약하여 깨지기 쉽기 때문에 기계구조용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금속조직의 형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파악해야 한다.
□ 재료의 강도와 미치는 결정립의 역할은 미세립 강재의 경우 Hall-Petch의 법칙을 통해 잘 설명된다. 예를 들어서 1980년대에 실용화한 TMCP (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강재는 합금원소의 첨가를 억제하고 결정립의 크기를 작게 하여 강도와 인성을 향상시키며, Hall-Petch의 법칙에 따르면 페라이트 결정립의 크기를 1㎛ 이하로 하면 인장강도가 800MPa급의 고강도 수준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그러나 본문에서 연구의 대상이 된 공석강과 과공석강 및 극고탄소강은 구상화 상태의 시멘타이트와 펄라이트의 혼합조직으로서 페라이트펄라이트 강재와는 달리 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크기가 항복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따라서 철강 재료의 결정립 미세화를 통한 기계적 성질을 연구 할 때는 본고의 내용을 참조하여 미세조직의 형태를 함께 검토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한다.
□ 본고에서 정리한 고용체에 의한 강화와 짧은 범위에서 전위거동의 방해, 그리고 넓은 범위에서 전위거동의 방해에 의한 강화기구를 토대로 공석강과 과공석강 및 극고탄소강과 같은 재료의 항복강도를 예측한 연구결과는 금속조직의 분석을 통한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해석하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며, 열처리와 합금화 기술을 이용하여 금속재료의 물성값을 개량하는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Taleff, Eric M.; Sridhar, Garud B.; Pourladian, Bamdad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36(10)
- 잡지명
- Wire Journal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3~77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