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선된 위기능에 맞는 사료작물 육종전략(Strategies of plant breeding for improved rumen function)
- 전문가 제언
-
□ 사료작물의 육종을 유전학적 측면에서 보면, 식량작물과 같은 생물학적원리에 기초를 두고 있으나 육종가가 인식하고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되는 많은 차이점과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종간 수분양식이 다르고, 수정과 결실이 불규칙하고, 사료작물의 평가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새로운 품종을 평가하고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 사료작물 육종목표특징을 보면, 작물의 종류에 따라 육종목표가 다르고(특별한 질병, 내한성, 시료가치 등), 사료작물의 이용형태에 따라 목표가 달라진다(방목, 건초 등). 사료작물의 중요한 육종목표로서는 (1) 수량과 종자 생산량을 동시에 높여야 하고, (2) 입병, 줄기병 등에 저항성이 강해야 하고, (3) 불량환경 적응성과 지속성, 내방목성이 있어야 하며, (4) 해충에 저항성이 있고, (5) 사료가치, 소화율 등의 영양가가 높아야 할뿐 아니라, (6) 평가방법도 개발하여야 한다. 이러한 육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유전자원의 도입과 조합, 선발, 합성품종개발, 분리육종, 교잡육종, 돌연변이 육종, 배수체 육종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 최근 사료작물의 육종목표로서 집중되고 있는 것은 사료작물과 가축의 품질향상이다. 사료작물의 내용성분, 즉 단백질, 지질, 탄닌, 탄수화물의 함량과 가축의 육질 및 우유량 증가에 목표를 두고 전통적 육종방법에 분자육종방법을 접목하여 고품질의 사료작물품종을 개발하는 것에 역점 을 두어야 한다.
- 저자
- Kingston-Smith, A. H.; Thomas, H. 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142(1)
- 잡지명
- Annals of Applied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3~24
- 분석자
- 최*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