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화력발전소의 수은 조정 방도(Status review of mercury control options for coal-fired power plants)
- 전문가 제언
-
□ 본문은 석탄-연소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수은에 대한 규제 가능성, 수은의 화합물에 따른 포집 방법과 효율, 그리고 회분 등 고형폐기물에 들어있는 수은의 침출 가능성 등에 대한 개관이다.
○ 수은은 일단 인체 내로 들어오면 신장에서 매우 천천히 제거되는 일부를 제외하면 인체 내에 축적된다. 이것이 인간의 신경계통에 장애를 일으키며 특히 태아나 유아의 경우 신경계통 발달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준다.
- 과거에는 수은이 물고기를 통하여 인체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았다. 일본의 경우 수은을 바다로 방출하는 화학공장이 있는 마을 사람들이 오래 동안 조개 등의 해산물을 먹고 많은 사람들이 온몸이 마비되는 비극을 겪기도 했다.
□ 본문을 분석하고 의외로 느낀 사실은 배기가스 중의 염소가 수은의 산화와 이에 따른 흡착을 촉진시킨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산출되는 일부지역의 석탄이 수은 제거에 어려움을 주는 것은 배기가스에 이 염소 성분이 적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 따라서 염소 함량이 부족한 경우 배기가스 처리시설(세척기, 습식 탈황장치나 섬유필터, 등) 앞에 비산회분 외에도 염소도 미량 투입하는 방법을 검토하지 않은 것이 의문이다. 염소는 유독성 가스로 분류되지만 확산계수가 적어 공기 중에서 생각보다 위험하지 않다.
○ 유동하는 배기가스 중 포함되어 흐르는 작은 탄소 입자를 정지된 물체로 생각하고 만든 수학적 모델도 재미있는 발상이다. 물리적 의미에서 정확성은 낮아도 중요한 사실만 집중해서 풀어내는 것도 의미가 있다. 복잡한 물리적 현상을 모두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도 없고 복잡할수록 그 해답이 현실과 멀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본문에 비산회분에 탄소가 많으면 콘크리트 원료대체물로 판매가 어렵다는 것은 그 제품이 검게 되기 때문임을 밝힌다.
- 저자
- Pavlish, John H.; Sondreal, Everett A.; Mann, Michael D.; Olson, Edwin S.; Galbreath, Kevin C.; Laudal, Dennis L.; Benson, Steven 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82(2-3)
- 잡지명
- Fuel Processing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89~165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