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 조직 재료의 안정성(Stability of nanostructured materials)

전문가 제언
□ 나노 재료의 안정성은 절삭가공재료와 고온마찰응용, 열 및 확산장벽, 고온촉매제와 반도체, 다공성배기 및 필터부품, 거대한 자기저항 등에 특히 중요하다. 그러므로 나노 재료의 안정성과 퇴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이해하는 것은 미래 기술개발을 위한 최선의 전략을 확인하는데 중요하다.

□ 나노 조직에서 합금의 영향이 분석되었는데 어떤 금속에서 총 몰 질량의 Gibbs 자유에너지의 최소가 나노 결정구역에 존재 할 수 있다는 것이 보였다. 이 최소의 가용성이 만약 초기입자크기값이 Gibbs의 자유에너지 최소값에 해당하는 값보다 적으면 입자성장과정을 억제하고 나 노 결정조직을 안정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나 노 결정합금 Y-Fe, Pd-Zr와 Ni-P에서 입자성장방지의 다른 예가 있다. 이경우의 입자성장감소는 편석 영향과 관계가 있다고 본다.

□ 입계에 Y와 YOx가 있으면 양이온과 음이온 확산을 위한 벌크 확산 율을 감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lN+TiB2와 AlN+SiC+TiB2필름을 1,500℃까지 가열한 후 중대한 열 안정성과 산화 저항이 나타나서 파괴분석에서 산화필름의 미세조직이 변하지 않고 남아 있고 나노 결정의 미세조직, 즉 조직 구성요소의 크기는 약 100㎚에 매우 근사했다.

□ 나노 재료의 비 평형 과정은 나노 결정조직을 남길 뿐만 아니라 비평형상과 과포화 고용 액도 나노 조직을 남긴다. 이 준안정의 조직은 특히 기계적합금과 필름/코팅 기술에 의해 준비된 나노 재료의 고유의 특성이다. 과포화 고용액과 비 평형상의 형성은 Fe-Cu, Fe-Ni, Fe-Ti, Fe-Al, W-Cu, Ni-Al, TiN-TiB2, TiN-AlN 등의 시스템에서 관측된다.

□ 나노 재료안정성자료의 대부분은 입자성장에 관련이 있고 방사성, 변형과 화학적 안정성은 매우 적은 데이터가 출판되어 추가적인 상세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고 입자성장 특성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Andrievski, R. 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38(7)
잡지명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367~1375
분석자
신*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