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으로의 특정한 약물전달 (Specific Drug Delivery to the Kidney)
- 전문가 제언
-
□ 결론에서 명시하였듯이 prodrug들은 신장 선택성이 없다. 이들은 경구 투여가 가능하여 면역원성 문제는 없지만 단점은 작은 분자가 약물에 부착되어 꼭 신장에 선택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신장 특정적 prodrug이 임상에 쓰인 것이 없다.
□ 저분자량 단백질들(LMWPs)을 약물 전달체로 사용하는 것의 단점은 이들을 비 경구로 투여하여야 한다는 것이며, 따라서 이 결합체들은 면역원성 문제가 있다. 투여방법으로 피하주사가 연구되고 있으며 이는 인슐린과 같은 폴리펩티드를 투여하는 방법이다. 만성 치료에 면역원성이 극심하면 합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재흡수 운반체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 최근 신장이 심장혈관 질병의 발병과 진전에 중심역할을 한다는 설이 있다. 따라서 신장특정 적 약물전달이이들 질병에 발병과 진전에 관여하여 치료효과를 걷을 수 있을 것이다. 신장 선택성 약물전달이 신장질병만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고 심장혈관계 질병도 결국은 치료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 특기할 것은 근래 병역기피 문제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신장염은 사구체 신장염으로 소변에 단백뇨 현상이 나타나거나 혈뇨가 검출되는 질병이다. 병역기피자들이 인위적으로 알부민을 소변에 섞어 단백뇨 현상을 만든 것이다. 이 사구체는 신장 내에서 수분과 노폐물을 거르는 역할을 하며 이 사구체를 거쳐 오줌이 만들어진다. 사구체 신장염은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겨 발병하는데 면역억제제를 투여하면 대부분은 치료되나 운동선수들은 심한 운동을 하면 안 된다. 병이 오래가면 방출되지 못한 독소가 쌓여 만성신부전증으로 발전되며 신장 투석을 받아야 한다.
- 저자
- Haas, Marijke; Moolenaar, Frits; Meijer, Dirk K. F.; de Zeeuw, Dick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16(6)
- 잡지명
- Cardiovascular Drugs and Therap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89~496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