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에서의 수은측정 및 연구활동에 관란 권고(Some recommendations on mercury measurements and research activities in the European Union)
- 전문가 제언
-
□ 수은 오염은 먹이사슬 밑바닥과 바다의 밑바닥에서 시작된다. 작은 해양생물(동식물 플랑크톤)들이 먹이를 먹으면서 오염된 침니(沈泥)로부터 화합물을 섭취한다. 이것들이 다른 어류의 먹이가 되면서 수은을 전달하고 오염물질은 신진대사가 되지 않기 때문에 큰 동물들의 지방조직에 축적된다. 기름기 많은 생선은 먹이사슬 맨 위의 포식자로서 수은을 많이 축적하게 된다.
□ 미국 환경위원회와 공익연구단체에서는 어류에 함유되어 있는 수은이 임산부와 태아 건강에 영향할 수 있으므로 미국식품의약국(FDA)은 현재의 수은 함유량 한계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식품의약국은 임산부 또는 가임 여성은 상어, 황새치, 고등어 및 돔 등의 섭취를 피해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수은에 오염된 생선들이 ‘두뇌식품’이라는 명칭으로 사람들을 오도하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 생선의 수은 오염정도는 몸집이 큰 생선이 오염도가 높다. FDA가 권고한 생선은 모두 몸집이 큰 생선이다. 그러나 참치 통조림을 포함해 조개류와 대양에 서식하는 작은 생선을 340g까지 먹는 것은 안전하다고 밝혔다. 임산부는 이를 잘 이해하여 각종 생선을 균형 있게 적당량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 우리나라에서도 단순히 생태계 중의 수은 농도만 측정할 것이 아니고, 생태계 수은의 발생원, 환경에로의 배출, 순환 및 축적 등에 관하여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먼저 국내 인위적 요인에 의한 발생량, 자연발생원으로부터의 배출량 및 이들 화합물중 수은의 화학형을 우선 확인해야 한다. 대기, 수상 및 육상 생태계로의 침착 메커니즘 및 경로가 규명되어야 하고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등의 국가적 표준화가 요구된다. 위에서 언급한 자료와 일상적 감시망에서 측정된 자료를 종합하여 수은의 효율적 제어와 저감대책이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Pirrone, Nicola; Wichmann-Fiebig, Mario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37(1)
- 잡지명
- Atmospheric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8
- 분석자
- 구*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