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섬유재고에 대한 분석(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Status of Textile Stock in 2001)
- 전문가 제언
-
□ 21세기 첫해를 맞아 분석된 섬유산업 생산현황은 오랜만에 처음으로 감소(0.7%) 현상을 보이고, 생산과 소비는 전체적으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 천연섬유는 공업화의 영향으로 생산경작지, 낙농의 축소 영향으로 큰 폭의 증가 없이 생산량을 유지하고, 새로운 생산기술의 접목이 절실한 실정이다.
□ 새로운 세기를 맞아 미국, 일본, 서구 등은 아시아 쪽으로 생산시설을 이관한 결과, 생산량의 감소가 두드러지고, 한국, 대만도 낮은 이윤 및, 저생산성의 취약으로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으로의 설비 이전에 따라 큰 폭의 생산량이 감소했다. 최근에 중국만이 모든 분야에서 섬유생산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 최근 우리나라에도 화학섬유의 설비과다 현상이 아직 해소되지 못하여 2~3년 사이에 회사를 정리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조정이 빠른 시간에 이루어져야지만 화학섬유의 새로운 지평이 가능하리라 본다.
- 저자
- Aizenshtein, E. M.; Efremov, V. N.; Shnaider, R.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35(1)
- 잡지명
- Fibre Chemistry (Translation of Khimicheskie Volokn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1
- 분석자
- 임*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