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롬화 방화물질의 열분해(Relevance of BFRs and thermal conditions on the formation pathways of brominated and brominated-chlorinated dibenzodioxins and dibenzofurans)
- 전문가 제언
-
□ 지난 20년간 브롬화 방화물질을 함유한 제품의 사용이 넓게 퍼지면서 폐기물 연소와 우연한 화재와 같은 열공정에서 브롬의 존재가 늘어나고 있다. 브롬화와 브롬화-염화 dibenzodioxines과 dibenzofurans (PBDDs/PBDFs, PXDDs/PXDFs)는 열공정을 통해 발생되는 걱정스러운 미세오염물이다.
□ 브롬화 방화물질은 제품에 섞여 일을 때에도 환경에 영향을 주나 그 것은 미미하고 연소할 때 위험물질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물질의 연소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의미가 있는 일이다.
□ 저자는 이들 화합물이 열공정 과정에서 변화하는 경로를 연구하여 발표하였는데 매우 뜻있는 자료로 보인다. 저자에 의하면 열응력 하에서 이들 화합물은 제조, 재활용 공정에서 발생하며 PBDE와 같은 PBDDs/PBDFs의 전구체는 반순 배출 반응만으로 PBDD/PBDF 할 수 있고 화재와 방치된 소각 상태에서 상당한 양의 PBDDs/PBFDs가 전구체 경로를 통해 BFRs에서 생성된다. 반면 잘 제어된 연소 환경에서는 BFRs와 PBDDs/PBDFs는 높은 효율로 분해된다.
□ 브롬화 방화물질에 노출되면 위험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요즈음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종류에 따라 유럽에서는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이 물질은 화재를 지연하는데 탁월한 특성을 갖고 있어 북미에서는 아직 사용을 용인하고 있다.
□ 이 메커니즘을 잘 파악하여 실제에 활용하면 환경오염을 적게 하고 화재 예방에 도움이 되는 길이 열릴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 저자
- Weber, Roland; Kuch, Bertra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29(6)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99~710
- 분석자
- 이*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