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우레탄과 폴리아크릴레이트 IPN 동향(Recent developments in polyurethanes and poly(acrylates)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 전문가 제언
-
□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은 두 가지의 고분자가 회로망(回路網, network) 형태로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중합물 형태로서 적어도 한 종류의 고분자는 다른 고분자와는 공유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중합되어 가교된 시스템을 말한다. 이 고분자는 고분자 블랜드, 블록 혹은 그라프트 공중합물과 같은 교락 분자쇄를 가진 다성분계 물질과 유사한 점이 많다, 그러나 용매에 용해하지는 않으면서 특정 용매에 팽윤된다. 대부분의 IPN은 고무상과 유리상을 함유하는 불균일계로서 상(相, phase)의 연속성에 따라서 충격강도나 강성에 영향을 준다. 분류 방법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축차(逐次, sequential) IPN, 동시(同時, simultaneous) IPN, semi-IPN, homo-IPN 등 4가지로 크게 분류된다.
□ 고분자 과학의 발전과 특정용도 요구사항에 적합한 물질의 개발 기술의 진보로 IPN 연구자와 산업계 사이에 새로운 유대 관계가 이룩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 중 하나가 물질의 특성 분석이다. IPN은 다른 어떤 소재도 가질 수 없는 특성의 결합이다. IPN은 특정의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쉽게 개질시킬 수 있어 다양하게 산업적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IPN은 다양한 용도 분야를 가지고 있는데, 코팅, 소음과 진동의 감소, 생의학(biomedical)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한국에서도 현제 학교를 중심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 중의 하나이다.
□ IPN 물질 중 흥미로운 통상적인 특징은 폴리우레탄 기술을 접합시키는 것이다. 여러 고분자 물질 중에서 폴리우레탄은 합성이 용이할 뿐 아니라 가교되기가 쉬워서 IPN 형태의 탄성체는 물론 가죽 제품까지도 가능하다.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산업적 용도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에게도 유용한 이상적인 고분자 물질로 발전할 것임에 틀림없다.
- 저자
- Athawale, Vilas D.; Kolekar, Suresh L.; Raut, Sachin 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C43(1)
- 잡지명
- Journal of Macromolecular Science Phys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26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