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보조제의 개발과 전달시스템의 최근 동향(Recent advances in the discovery and delivery of vaccine adjuvants)
- 전문가 제언
-
□ 지난 10년 간, 면역학은 그 이론적인 면에 있어서 극적인 변화를 겪어 왔다. 그 중 가장 실용적인 응용이 가능한 분야인 백신 보조제의 개발은 선천적 면역 시스템의 활성화와 더불어 더욱 가속화되었다. 세포생물학 분자생물학의 발전은 각 세포의 모양과 기능을 규명하고 이해하면서 이 세포들이 갖고 있는 선천성 면역성의 활성화와 관계된 receptor와 signalling pathway에 대한 기전이 확실하게 되었다. 따라서 세포가 갖고 있는 자가의 인식과 방어기전을 백신 보조제의 개발에 구체적인 목표를 확보하려고 한다.
□ 천연두 백신접종이 성공한 이래로 백신 개발은 어떻게 백신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기전을 이해하기 보다는 효과만 있으면 된다는 실용주의적인 측면만이 중시되어 왔다. 다행히 최근에는 백신 발전에 큰 기여를 할만한 기본적인 면역학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이는 현재 치료 가능한 백신이 없는 HIV나 HCV, 수막염(Neisseria meningitides), SARS와 같은 수 많은 위험 질병에 대한 안전하고 효과 있는 백신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실정 이다. 더욱이 면역학 분야의 최근의 큰 발전은 발전된 백신 보조제와 강화제에 의해 조절 가능한 면역 시스템을 찾는 것은 물론 생화학 테러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 이 분야에 대한 노력이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 최근의 연구는 병원체(pathogens)의 특정직인 형태와 요소들을 파악하고 선천적 면역세포(innate immune cells)의 수용체에 대한 연구에서부터 선천적 면역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백신보조제, 병원체 기반의 리간드(pathogen-based ligands) 개발 등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물질을 자연에서 찾기도 하고, 항원을 근거로 항체를 인공적으로 제조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기도 하는데, 이 논문의 원 저자는 합성 백신이 많이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 저자
- OHagan, Derek T.; Valiante, Nicholas 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3
- 권(호)
- 2(9)
- 잡지명
-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27~735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