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이금속 클러스터를 이용한 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입자 특성측정(Probing of 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using transition metal clusters)

전문가 제언
□ MCM-41 메조 포러스 소재가 개발된 이래로, 일정한 크기의 기공구조를 갖고 있고, 많은 수의 기공에서부터 오는 높은 표면적의 장점으로 새로운 메조 포러스 물질 합성 및 그 응용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현실이다. 따라서 높은 관심으로 새로운 매조포러스 물질이 얻어지고 있으나, 그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은 직접적으로 기공을 확인하기 보다는 CP/MAS NMR(cross polarization/magic-angle spinn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원소 분석,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그리고 열분석과 같은 간접적인 방법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전이금속 클러스터를 이용해 메조포러스 기공의 반응기와 반응을 유도하여, 직접적으로 메조포러스 기공 구조, 반응기 위치 등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Ru6C(CO)16SnCl]-, [Ru5C(CO)15]와의 반응을 통해 실리카 메조포러스 입자의 SH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핵사루테늄클러스터/크라운 에테르 콤플렉스, [Ru6C(CO)14(η6-C16H24O6)]과 아미노프로필 유도된 메조포러스한 실리카 나노 입자와는 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부터 계면활성제를 틀로 이용한 co-condensation반응으로 얻어진 메조포러스한 물질의 후처리 개질이 어려움을 확인하는 등, 직접적으로 메조포러스한 나노 입자의 기공 및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국내에서도 많은 양의 새로운 구조의 메조포러스한 소재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정확한 특성분석이 이루어져야만 그 응용이 확장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와 같이 새로운 방법으로 메조포러스한 소재의 특성 분석 방법이 병행되어야만 새로운 나노 소재의 개발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Hermans, Sophie; Sadasivan, Sajanikumari; Judkins, Catherine M. G.; Johnson, Brian F. G.; Mann, Stephen; Khushalani, Deep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15(21)
잡지명
Advanced Materials (Weinheim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53~1857
분석자
원*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