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유 및 석유화학용 촉매의 현황과 미래(Present status and future trends in catalysis for refining and petrochemicals)

전문가 제언
□ 최근에는 정유 및 석유화학 제품의 규격치와 품질에 관련한 사회적 요구 변화에 대응키 위해 기존 기술을 향상시키고 첨단기술을 계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자동차 연료 품질과 정유공장 자체에서의 배출가스에 대한 환경 규제가 현재로선 가장 중요한 현안이고, 또한 가장 큰 투자가 필요하다. 최근 발표된 규제(EPA Clean Air Act(Tier 2))의 제일 중요한 목표는 자동차 연료의 유황 함량을 낮추는 일이다. 정유공장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CO2는 교토 의정서로 규제될 것이다. 2005년 초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교토의정서가 발효되면 여기에 동참하라는 선진국들의 외교압력이 점점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국제에너지기구(IEA)가 공개한 ‘세계 주요 에너지 통계’에 따르면 2002년 한 해 동안 한국이 배출한 온실가스, 즉 이산화탄소는 모두 4억 5155만 톤으로 국가별로는 세계 아홉째였다. 1990년에 비해 무려 2억2000만 톤가량 늘었다. 1997년에 채택된 의정서가 내년 초 발효되면 선진국들은 2013년 이후의 배출량에 대한 협상을 본격화할 계획이고 자신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한국에도 감축의무를 안기려 할 것이다. 이에 한국도 자체 감축 프로그램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 21세기 전반까지는 여전히 원유가 주된 에너지원이 될 것이나 점차 대체 에너지원이 나타날 것이다. 1차적으로는 석탄, 천연가스, 바이오매스이고 새로운 에너지 운송수단(특히 수소)이 등장할 것이다. 이들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기술적 난제와 원가 문제를 극복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도 촉매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앞으로 10~20년간에는 정유 및 석유화학산업이 추구하는 것은 지난 30년간 환경보호와 관련한 각종 규제와 의무, 온실화 가스(특히 CO2)에 대한 효과적 대응, 그리고 국제적인 경쟁 등을 위한 변화와 혁신이다. 비록 이 분야 산업은 이미 성숙되어 있으나 모든 수준에서 한 차원 높은 발전이 요구되고 있는데, 특히 촉매분야가 그러하다. 2020년 이후의 장기적 측면에서 점차 다른 에너지원이 원유를 대체될 것이므로 그에 대비한 과제의 수행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여러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촉매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저자
Marcilly, C.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216(1-2)
잡지명
Journal of Catalysi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7~62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