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공업 습식공정에서의 오염완화(Pollution abatement - part II)
- 전문가 제언
-
□ 섬유공업에서 공정별 물 사용량 및 오염발생 정도를 보면, 물 사용량은 정련 및 표백공정이 전체의 77%를 차지하며, 오염물질 발생은 탈호 및 정련공정이 83%를 보이는 등 전체적으로 준비공정인 탈호, 정련 및 표백공정이 물 사용량과 오염발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공정에 집중하여 물과 화학약품 사용 절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염색잔액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염색잔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중성염 및 계면활성제 등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센서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 염욕의 재사용은 다음 배치를 염색하기 위해 염욕을 분석하고 필요한 물질을 보충하고 재사용함으로서 오염을 줄이고 유해물질의 방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염료의 고착률을 향상시켜 적은 양의 염료로 섬유에 발색성을 높이는 것, 특히 반응성 염료의 잔액 잔류가 많으므로 반응성 염료의 고착률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헹굼 과정에서 많은 물의 소비가 있으므로 이의 재사용 방안이 적극 모색되어야 한다.
□ 섬유제조가 화학집약적인 과정이므로 오염방지의 초점은 공정에서 오염이 적은 약제로 대체하는 것이다. 기존 사용하는 용매를 대치함으로서 폐액을 줄이고 처리시스템에 관계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고착효율이 높은 염료는 폐수로 나가는 염료량을 감소시키고 염욕에서 염료의 반응시간을 줄일 수 있다. 물 사용을 줄이는 하나의 부가적인 방안은 설비의 개량에 의하는 것이다. 수동에 의한 제어시스템보다 프로세스를 연속적이고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자동제어시스템으로 전환하여 물, 에너지 및 약제의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 섬유공업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물의 사용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공해물질의 발생이 많은 업종으로서 점차 증대되는 국내외적 환경규제추세에서 청정생산기술 개발이 절실한 분야이다. 염색가공업의 청정기술은 염료, 조제 등의 원부재료부터 설비와 이를 이용하는 공정기술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시스템 기술이므로 그 기술개발에 상당한 투자가 소요되고 정부의 적극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개발 지원이 필요하다.
- 저자
- W.Sampath, M. R.W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50(1)
- 잡지명
- Colourag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8~82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