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슘 합금의 플라스마 양극산화(Plasma anodizing of magnesium alloys)
- 전문가 제언
-
□ 앞으로 자동차공업과 가전분야에서 마그네슘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마그네슘의 응용을 위한 기술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 마그네슘은 반응성이 높고 산화되기 쉬운 표준전극전위가 낮은 비금속이며 특히 이온화 경향이 높고 환경 부하가 작은 소재로서,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표면의 특성을 개선하는 표면처리 기술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산업용 기계류 부품이나 자동차 부품과 같이 힘이나 마찰을 많이 받는 금속제품의 내마모성과 내식성 등을 개선하는데 플라스마를 이용하는 플라스마 양극산화, 플라스마 질화/질소탄화, 플라스마 브로나이징 등의 표면경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향후 관련제품의 생산에 활발히 응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 자동차, 항공기, 철도차량과 같은 수송기기 분야의 경량화를 위해 마그네슘 합금과 부품들을 많이 사용하는 시기가 도래할 것에 대비하여 우리나라는 선진국과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후발국의 추격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마그네슘 합금의 표면처리 효과가 우수한 플라스마 양극산화기술의 개발과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Anselm Kuhn이 정리한 “마그네슘 합금의 플라스마 양극산화” 기술의 내용은 매우 유익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저자
- Kuhn, Ansel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101(9)
- 잡지명
- Metal Finish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4~50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